loose
이로운 개발하기
loos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전체 (204)
    • ☕ Java (24)
    • 📘 Effective Java (9)
    • 🍃 Spring (47)
    • 📖 ORM (9)
    • ☸️ Kubernetes (13)
    • 🐧 Linux (5)
    • 🐋 Docker (5)
    • 🛠️ CI & CD (7)
    • 🕸️ Web (6)
    • 🔗 Distributed System (3)
    • 📜 Js (10)
    • 📈 Database (11)
    • 🗂️ Etc (34)
    • 🧑 Chitchat (11)
    • 📒 문학 (9)
    • 👜 개인 공부 창고 (1)

공지사항

반응형

최근 글

최근 댓글

loose

이로운 개발하기

🕸️ Web

SOP(Same Origin Policy)와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의 차이

2022. 7. 20. 23:20
반응형

SOP(Same Origin Policy)

같은 출처에서만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자신의 프로젝트 내에 있는 리소스만 공유가 가능하다는 정책이다.

 

<script>에선 클라이언트에 head 요청 헤더에 origin을 담아 서버에 보내고 다시 클라이언트로 가져온 값과 비교를 해야하는데, 비교 결과가 같으면 Same Origin( 프로토콜, 포트, 호스트 모두 일치해야 Same Origin ) 다르면 Cross Origin으로 판단하고 불러오질 못한다.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라는 뜻이다.

예를들어 내 프로젝트에서 다른 프로젝트의 자원을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CORS는 html 태그인 link(css), img, script, iframe 등에서는 기본적으로 허용되어있다.

하지만 script 태그 내의 특정 도메인을 요청하는 ajax에서 이러한 CORS 차단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을 해줘야한다.

MSA 구조에서는 이 기능을 열고 사용해야한다.

 

 

728x90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1.1 vs HTTP/2 - 동시 요청 처리 방법에 따른 대용량 트래픽 처리  (0) 2025.01.21
Cloud Database Service(2) - Firebase의 Realtime Database 규칙  (0) 2023.05.24
Cloud Database Service(1) - 클라우드 DB의 종류  (0) 2023.05.23
최초의 웹과 스프링이 나오기까지 (2)  (0) 2022.02.10
최초의 웹과 스프링이 나오기까지 (1)  (0) 2022.02.10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loud Database Service(2) - Firebase의 Realtime Database 규칙
    • Cloud Database Service(1) - 클라우드 DB의 종류
    • 최초의 웹과 스프링이 나오기까지 (2)
    • 최초의 웹과 스프링이 나오기까지 (1)
    loose
    loose
    불만하는 사람은 90명, 해결하는 사람은 9명, 리드하는 사람은 1명 음악과 낭만을 좋아합니다.
    hELLO. 티스토리 스킨을 소개합니다.
    제일 위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