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se
이로운 개발하기
loos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전체 (207)
    • ☕ Java (24)
    • 📘 Effective Java (9)
    • 🍃 Spring (48)
    • 📖 ORM (9)
    • ☸️ Kubernetes (13)
    • 🐧 Linux (5)
    • 🐋 Docker (5)
    • 🛠️ CI & CD (7)
    • 🕸️ Web (6)
    • 🔗 Distributed System (3)
    • 📜 Js (10)
    • 📈 Database (11)
    • 🗂️ Etc (34)
    • 🧑 Chitchat (11)
    • 📒 문학 (11)
    • 👜 개인 공부 창고 (1)

공지사항

반응형

최근 글

최근 댓글

loose
🗂️ Etc

앱에서 크롬 개발자도구 여는 법(eruda.js)

앱에서 크롬 개발자도구 여는 법(eruda.js)
🗂️ Etc

앱에서 크롬 개발자도구 여는 법(eruda.js)

2022. 7. 28. 11:01
반응형

모바일 환경에서 개발자 도구를 연 화면

 

GitHub - liriliri/eruda: Console for mobile browsers

Console for mobile browsers. Contribute to liriliri/erud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의 오픈 소스를 사용하면 앱에서도 크롬 개발자도구를 열 수 있다.

 

사용법은 너무 간단해서 설명하기도 뭐하지만..

 

npm install eruda --save

로 설치한다. node.js가 없으면 그냥 아래거 다운받아서 쓰시라.

eruda.js
0.45MB
불만하는 사람은 90명, 해결하는 사람은 9명, 리드하는 사람은 1명
음악과 낭만을 좋아합니다.

 

<script src="js/eruda.js"></script>
<script>eruda.init();</script>

공통파일 어딘가 적당한 위치에 위의 코드를 적어주면 화면에 개발자도구를 열 수 있는 버튼이 생긴다.

콘솔창에 직접 입력도 가능해서 앱 환경에서 테스트하기가 굉장히 유용한 오픈소스다.

728x90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ic Method를 테스트 하기 어려운 이유  (0) 2022.09.04
개발자도구로 특정 이벤트 찾는 법  (1) 2022.07.29
세션 탈취해서 로그인하기(세션 하이재킹) feat. 쿠키와 세션 실습  (5) 2022.07.27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Eclipse와 Intellij에서 사용하는 디버깅 방식  (0) 2022.06.29
카카오 공유하기 - imageUrl과 serverCallbackArgs 사용법  (0) 2022.06.19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tatic Method를 테스트 하기 어려운 이유
    • 개발자도구로 특정 이벤트 찾는 법
    • 세션 탈취해서 로그인하기(세션 하이재킹) feat. 쿠키와 세션 실습
    •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Eclipse와 Intellij에서 사용하는 디버깅 방식
    loose
    loose
    eruda.js
    0.45MB
    불만하는 사람은 90명, 해결하는 사람은 9명, 리드하는 사람은 1명
    음악과 낭만을 좋아합니다.
    hELLO. 티스토리 스킨을 소개합니다.
    제일 위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