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Spring] DTO는 어디서 변환할까? (feat. DDD)
MVC와 헥사고날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은 MVC 개발 방식(도메인 중심이 아닌 경우)은 일반적으로 모든 서비스 레이어에서 DTO를 파라미터로 받고 return도 DTO로 합니다.헥사고날에서는 계층 간의 시스템적인 완벽한 분리를 추구하기 때문에 서비스 레이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도메인 객체만을 담당하게 됩니다. 비교는 MVC와 헥사고날로 한 것이지만 더 넓게 보자면 SQL 중심의 개발 방식 vs DDD 개발 방식 을 두고 얘기한 것 이기도 합니다.헥사고날의 코드 구조와 장점이제 헥사고날 코드를 잠깐 구경하겠습니다.Member라는 도메인 객체가 있고 해당 객체를 서비스 레이어에서 다루는 코드 입니다.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