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Item 18] 상속보다는 컴포지션(조합)을 사용하라
Effective Java에서는 상속보다 컴포지션을 사용하라고 하고 있다. 책 내용이 조금 복잡하고 이해를 했더라도 실제 설계를 어떤 방향으로 할 지 감이 안잡힌다. 비슷한 주제로 검색 하더라도 설명이 부실한 경우가 많았다. 추후에 나도 다시 읽을 목적으로 초등학생한테 설명해주는 것 처럼 하나하나 설명 해볼 예정이다! 일단 주제에 대해 다시 짚고 넘어가고 싶다. 상속보다는 컴포지션을 이용하라는 뜻이 상속이라는 기능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는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상속은 항상 좋지 않은 선택일까? 상속이 올바른 경우 상속이 올바른 경우는 아래와 같다. 같은 프로그래머가 하위, 상위 클래스를 통제 문서화가 잘된 클래스 확장 목적으로 설계 된 경우 is-a 관계가 확실할 경우 위의 조건에 부합하는 상속은 문제없..
@JsonProperty 사용법에 대한 모든 것
필드명이 다를 때 치환 용도 @GetMapping("/changeCamelCase1") public String changeCamelCase1(@RequestBody Student1 student) { System.out.println(student.myAge + "--" + student.myName); return "ok"; } @GetMapping("/changeCamelCase2") public String changeCamelCase2(@RequestBody Student2 student) { System.out.println(student.myAge + "--" + student.myName); return "ok"; } @Data public static class Student1 { @Js..
뇌졸중 후 동측 반맹증 및 편측 공간 무시 환자를 위한 재활 치료 프로그램
알버트 테스트 https://stir084.github.io/Rehabilitation-for-visual-impairments-caused-by-stroke/Alberts-Test.html stir084.github.io 위 프로젝트는 뇌졸중 후 편측 무시(Spatial Neglect) 혹은 동측 반맹증(Homonymous Hemianopsia) 혹은 동측 사분맹증(Homonymous Quadrantanopia) 환자를 돕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1973년에 고안된 Albert's Test는 편측 무시와 반맹증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입니다. 때때로 Albert's Test는 재활 훈련으로도 사용되긴 하지만 임상시험에 대한 충분한 결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가로 방향으로 인쇄해서 사..
스프링 클라우드 Config 구성하기(4)
Config Server 만들기 우선 start.spring.io에서 config server 추가해서 만든다. Config Server 컨픽 서버 포트는 보통 8888로 하는 경우가 많은 듯 하다. server: port:8888 그리고 @SpringBootApplication 밑에 @EnableConfigServer를 추가해줘야한다. 이후에 config 파일을 사용하려면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고 github 같은 곳에 올려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1. 서버에 파일 형태로 저장한것을 사용 spring: profiles: active: native cloud: config: server: native: search-locations: classpath:config/ classpath:conf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