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Qiskit을 이용해 양자 컴퓨터 경험하기

    양자의 'ㅇ'자도 모르는 개발자가 취미삼아 쓰는 글이며 미래에 존재할 취약점이 없는 양자 암호화에 흥미가 끌려 적어보는 글이다. 양자역학 전문가들은 안봐도 된다. 양자역학은 기술적으로 난해하고 비전문가가 다루기에는 너무 기술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최대한 뺐다. 양자, 입자, 원자, 불안정성 원리 등등에 대한 개념은 알아서 얻어오시길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 얽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양자 얽힘은 입자들이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현상으로 하나의 입자의 상태가 다른 입자의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이 상태는 입자들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적용된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의 보안이나 암호화 문제는 취약점이 어느정도 조금씩은 존재한다. 근데 양자 얽힘을 이용하면 이론..

    풀스택 개발자의 중요성

    해외는 풀스택 개발자가 연봉이 더 높다. 한 두어달 전에 본 글이 있다. 해외에서는 풀스택 개발자가 다른 개발자보다 연봉이 높다라는 글이었다. 심지어 급여뿐만 아니라 수요 자체도 1위다. 사실 너무 당연한 이치다. 풀스택을 제대로 한다면 급여가 더 높은건 사실이다. 근데 그게 사회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지냐는 국내와 해외의 차이가 심한 듯 하다. 편견 국내는 지금으로부터 한 20년전 JSP와 전자정부프레임워크가 한창 성행하던 시절에는 개발자들은 모두 비자발적 풀스택 개발자가 되어야했다. 그리고 어느 순간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자도 뜨기 시작하더니 자연스럽게 "풀스택 개발자는 전문성이 부족해"라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다. 근데 물론 나도 그랬다. 하나만 진득히 판 사람이 낫지 이것저것 찍먹한 사람은 보기 ..

    Cloud Database Service(2) - Firebase의 Realtime Database 규칙

    이전 글에도 설명했다시피 Realtime Database를 선택할 일은 거의 드물다. 그래서 Realtime Database 규칙에 관한 글을 찾기에도 꽤나 정보가 부족했다.(사실 아예 없었다) 그래서 혹여나 Realtime Database를 사용할 사람이 있다면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사용하면 된다. 직접 코드부터 보고 싶다면 예시부터 확인하는 게 좋다. 규칙 { "rules": { ".read": false, ".write": false } } 초기 권장 설정으로 진행하면 해당 DB에 대한 읽기 쓰기 권한을 다 false로 설정이 된다. { "rules": { ".read": "auth != null", ".write": "auth != null" } } 그리고 Firestore의 인증 서비스를 이용해..

    Cloud Database Service(1) - 클라우드 DB의 종류

    이게 왜 필요할까? 이 글의 고민은 아래의 생각에서 시작한다. "나는 DB를 좀 더 쉽게 쓰고싶어." 어플리케이션을 좀 구축해본 사람이라면 느끼는 부분이 있다.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느냐에 따라 서버 구축의 형태는 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자 하는 열망이 있다. 실제로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한 해 영업이익 100억을 돌파하는 경우를 봤기 때문이다. 근데 그건 그렇다쳐도 서버가 존재하지 않으면 만들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한정적인건 변함없는 사실이다. 그럴때 서버를 어떻게 구축할 지에 대한 고민은 빠지지 않는다. 그럴때마다 아래의 일련의 고민이 튀어나온다. "간단하게 만들거라 서버가 필요하긴 한데 전기세 감당하기도 싫고 서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