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옻 독 오른 이야기와 치료하는 법
2019년 여름. 계곡을 놀러 가서 난생처음 옻닭이란 것을 먹어봤다. 계곡 주인 아주머니께서 옻닭을 처음먹는 것을 알고 미리 옻 독을 예방하는 약도 주셨었지만 운이 나쁘게도 옻 독이 심하게 올랐다. 처음엔 가볍게 가려운 수준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강도가 심해져서 경련이 일어날 정도로 가려웠다. 나중에는 피부가 약해졌는지 긁어서 피가 나기도 했다. 피부과를 가서 약도 처방받고 피부약도 받고 주사도 맞았지만 효능은 좋지 않았다. 그러다 인터넷에서 우연히 한의학에 관한 포스팅을 하나 보게됐다. 밤나무 잎을 달여서 몸에 바르고 먹으면 낫는다라는 이야기였다. (큰 쥐? 소 쓸개?) 그때 든 생각은 "밤나무 이거 산에만 올라가면 구할 수 있는거 아닌가?"하고 바로 행동으로 옮겼다. 근데 막상 산을 가보니 ..
Query String과 Path Variable
웹 경로를 찾아갈 때 get방식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Query String/?name=testPath Variable/users/123 //123번 user를 가져온다 /users?id=123 //물론 이렇게도 가져올 수 있다. Query string, Path Variable방식은 각각 언제 사용해야 할까?users에 programmer가 여러명이면 쿼리 파라미터(필터링 및 정렬) 한명이고 그 사람만 식별하고 싶다면 Path Variable/users?occupation=programmer // programmer 필터링 /users/123 //123번 user를 가져온다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들어가서 확인하면 된다.
기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가 필요한 이유
서론 어느날 갑자기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클래스에 매개변수가 존재하는 생성자가 있으면 기본 생성자가 굳이 필요한가? 왜 매개변수가 존재하는 생성자를 만들어주면 항상 기본 생성자를 만들어줘야하지? 왜 기본 생성자를 안 만들어주면 왜 가끔 에러가 나는거야? 기본 생성자는 도대체 왜 필요한거지? Stackoverflow에선 이렇게 답변하는 사람도 있었다. "I don't have a good answer for 'why'. Because that's how the language was built." -> "언어가 그냥 그렇게 만들어졌어 나도 몰라"(아 몰라 그냥 그런줄 알고 있어) 그래서 조금 객체지향적인 관점에서 설명해보려고 한다. 슈도 코드 기본 생성자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선 상속에 대한 설명..
Kotlin 에서의 JPA Builder
미리 결론 - Kotlin에서는 Builder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Java @Entity public class Tes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password; @Builder public Test(String name, String password) { this.name = name; this.content = content; } } Test test = new Test("stir", "1234"); //생성자 방식 Test.Builder().name("stir").password("1234") //Builder 방식 자바 진영에서는 생성자로 Entity Class에 값을 할당하는 방식()이 명시적이지 않기 때문에 보통 Builder를 사용한다. Ko..